뿔의 의미
일반 세계 안에서 뿔은 성경 속의 상징과 거의 일치합니다. 성경은 대체로 힘과 권세를 뜻합니다. 동물들은 뿔을 대부분 자신을 방어하거나 상대방을 공격하는 무기로 사용합니다. 뿔이 새끼에게는 없거나 작고 약합니다. 성체가 되면 뿔은 커지고 단단해집니다. 대부분의 동물들의 뼈는 일정 기간이 지나면 사라지고 다시 자라납니다. 이런 의미에서 영생의 의미도 담겨 있습니다. 주의할 부분은 뿔은 초식동물에게 있으며, 육식 동물에게 있는 뿔은 큰 의미가 없거나 매우 약하다는 것입니다. 뿔은 초식 동물이 자신을 방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발달 되었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이것도 그리 적절한 표현은 아닙니다. 약한 토끼에는 뿔이 없기 때문이다. 상대적으로 큰 염소와 양에게 오히려 뿔이 있습니다.
이제 성경 속으로 들어가 뿔이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 지를 살펴봅시다.
1. 성경 속 뿔의 용도
나팔로서의 뿔
성경이 아니더라도 뿔은 많은 지역에서 나팔로 만들어져 사용되었습니다. 성경에도 예외는 아닙니다. 나팔용 뿔은 염소나 양의 뿔처럼 작은 것에서 1m 가까이 되는 큰 나팔도 존재합니다. 작은 사이즈는 양이고, 큰 사이즈는 대분 염소의 뿔을 가공해 만든 것입니다. 뿔은 모양에 따라 소리가 다르기 때문에 적절하게 다듬어 소리를 듣고 개인의 것과 민족 전체가 사용할지를 결정했습니다.
기름을 붓는 도구
뿔은 나팔이 대부분이지만 기름을 붓기 위한 도구로도 사용되었습니다. 그냥 그릇에 넣어도 부어도될 것을 왜 뿔에 넣었을까요? 그것은 앞으로 소개될 뿔이 가진 특징 때문입니다. 권세를 의미하기에 뿔에 기름을 넣어 부음으로 그 권세가 위임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 사무엘상 16장 1절 여호와께서 사무엘에게 이르시되 내가 이미 사울을 버려 이스라엘 왕이 되지 못하게 하였거늘 네가 그를 위하여 언제까지 슬퍼하겠느냐 너는 뿔에 기름을 채워 가지고 가라 내가 너를 베들레헴 사람 이새에게로 보내리니 이는 내가 그의 아들 중에서 한 왕을 보았느니라 하시는지라
- 열왕기상 1장 39절 제사장 사독이 성막 가운데에서 기름 담은 뿔을 가져다가 솔로몬에게 기름을 부으니 이에 뿔나팔을 불고 모든 백성이 솔로몬 왕은 만세수를 하옵소서 하니라
2. 성경 속 뿔의 상징
우월한 힘
- 신 33:17 그는 첫 수송아지 같이 위엄이 있으니 그 뿔이 들소의 뿔 같도다 이것으로 민족들을 받아 땅 끝까지 이르리니 곧 에브라임의 자손은 만만이요 므낫세의 자손은 천천이리로다
뿔은 힘을 상징합니다. 이후에 소개되는 대부분의 내용들도 거의 비슷한 맥락입니다. 뿔은 힘과 능력 권세를 뜻하기 때문입니다. 요셉의 두 아들인 에브라임과 므낫세 지파를 소개합니다. 두 지파는 요셉 지파로도 불리며, 북이스라엘의 핵심적인 지파입니다. 하지만 므낫세는 약하고 에브라임은 거대하고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곳에서 에브라임 지파는 만만으로 소개하고 므낫세의 지파는 천천으로 소개합니다. ‘들소의 뿔’은 강력한 힘과 권위를 상징하고 있습니다.
구원의 뿔
- 사무엘하 22장 3절 내가 피할 나의 반석의 하나님이시요 나의 방패시요 나의 구원의 뿔이시요 나의 높은 망대시요 그에게 피할 나의 피난처시요 나의 구원자시라 나를 폭력에서 구원하셨도다
- 시편 18장 2절 여호와는 나의 반석이시요 나의 요새시요 나를 건지시는 이시요 나의 하나님이시요 내가 그 안에 피할 나의 바위시요 나의 방패시요 나의 구원의 뿔이시요 나의 산성이시로다
- 누가복음 1장 69절 우리를 위하여 구원의 뿔을 그 종 다윗의 집에 일으키셨으니
‘구원의 뿔’은 뿔이 가진 힘으로 자신을 구했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구약에서 ‘구원의 뿔’은 뿔이 가진 힘과 능력을 보여주지만 신약에서 예수님을 향해 ‘구원의 뿔’로 소개하는 것은 대단히 역설적입니다. 뿔은 힘과 권세, 능력을 뜻하지만 예수님은 강자들에 의해 핍박을 당하시고, 가장 약한 모습으로 십자가에서 어린 양처럼 죽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것이 복음의 힘이자 역설이죠.
어린 양의 뿔
- 요한계시록 5장 6절 내가 또 보니 보좌와 네 생물과 장로들 사이에 한 어린 양이 서 있는데 일찍이 죽임을 당한 것 같더라 그에게 일곱 뿔과 일곱 눈이 있으니 이 눈들은 온 땅에 보내심을 받은 하나님의 일곱 영이더라
계시록에서 매우 특이한 장면이 연출됩니다. 하늘 보좌에서 어린 양이 등장하면서 그에게 ‘일곱 뿔’이 있습니다. 13:111에 등장하는 어린 양같이 생긴 짐승은 ‘두 뿔’이 있습니다. 뿔이 앞선 구원의 뿔이고, 어린양이 예수 그리스도를 상징한다는 의미에서 ‘어린 양의 일곱 뿔’은 완전한 구원과 능력을 의미합니다.
왕적, 권위와 힘
- 단 7:7-8 내가 밤 환상 가운데에 그 다음에 본 넷째 짐승은 무섭고 놀라우며 또 매우 강하며 또 쇠로 된 큰 이가 있어서 먹고 부서뜨리고 그 나머지를 발로 밟았으며 이 짐승은 전의 모든 짐승과 다르고 또 열 뿔이 있더라 내가 그 뿔을 유심히 보는 중에 다른 작은 뿔이 그 사이에서 나더니 첫 번째 뿔 중의 셋이 그 앞에서 뿌리까지 뽑혔으며 이 작은 뿔에는 사람의 눈 같은 눈들이 있고 또 입이 있어 큰 말을 하였더라
어린양의 뿔이 단순한 뿔이 아니라 왕적 능력을 가진 힘과 권세를 함께 내포하고 있다는 점을 설명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 부분은 다니엘 7장과 8장에 등장하는 짐승과 그들의 뿔에 대한 것입니다. 이 뿔들은 세상에 나타난 나라와 왕들에 대한 것입니다. 그들이 성도들을 괴롭히자 하나님께서 그들을 멸하신다는 내용입니다.2 다니엘서의 내용은 요한계시록에 등장하는 용들과 매우 닮아 있습니다. 뿔은 왕이고, 이 왕들을 하나님께서 이기신다는 내용입니다.
제단의 뿔
구약을 유심히 읽어보면 성막을 지을 때 유난히 뿔에 대한 언급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제단에도, 향단에도 뿔이 있습니다.
- 출애굽기 27:2 그 네 모퉁이 위에 뿔을 만들되 그 뿔이 그것에 이어지게 하고 그 제단을 놋으로 싸고
- 출애굽기 29:12 그 피를 네 손가락으로 제단 뿔들에 바르고 그 피 전부를 제단 밑에 쏟을지며
- 출애굽기 30:10 아론이 일 년에 한 번씩 이 향단 뿔을 위하여 속죄하되 속죄제의 피로 일 년에 한 번씩 대대로 속죄할지니라 이 제단은 여호와께 지극히 거룩하니라
제단과 향단에 뿔을 넣은 이유는 제단이 가진 위엄을 위해서입니다.
[더 읽을 거리]
- 뿔을 베는 행위 , 뿔을 잡는 행위
- 모세의 뿔
- 요한계시록 13장 11절 내가 보매 또 다른 짐승이 땅에서 올라오니 어린 양 같이 두 뿔이 있고 용처럼 말을 하더라 ↩︎
- 단 8:20 네가 본 바 두 뿔 가진 숫양은 곧 메대와 바사 왕들이요
단 8:21 털이 많은 숫염소는 곧 헬라 왕이요 그의 두 눈 사이에 있는 큰 뿔은 곧 그 첫째 왕이요
단 8:22 이 뿔이 꺾이고 그 대신에 네 뿔이 났은즉 그 나라 가운데에서 네 나라가 일어나되 그의 권세만 못하리라 ↩︎
Views: 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