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의 상징
성경에서 새는 의외로 많은 곳에서 종종 나타난다. 물론 사자나 양 같은 동물과는 비교할 수 없지만 새는 일상 생활에서도, 은유나 상징적 의미로도 많이 사용된다.
부정한 동물
새는 부정한 동물이다. 오직 비둘기만 하나님께 드릴 수 있는 제물이다.
음식으로서의 새
대부분의 새가 부정하지만 참새의 경우는 먹을 수 있는 새이다. 솔로몬의 식탁에서 ‘살진 새들’이 등장한다.
- 왕상 4:23 살진 소가 열 마리요 초장의 소가 스무 마리요 양이 백 마리이며 그 외에 수사슴과 노루와 암사슴과 살진 새들이었더라
- 마태복음 10장 29절 참새 두 마리가 한 앗사리온에 팔리지 않느냐 그러나 너희 아버지께서 허락하지 아니하시면 그 하나도 땅에 떨어지지 아니하리라
광야에서 고기를 먹고 싶다고할 때 하나님을 메추라기를 보내셨다.
- 출애굽기 16장 13절 저녁에는 메추라기가 와서 진에 덮이고 아침에는 이슬이 진 주위에 있더니
- 시편 105장 40절 그들이 구한즉 메추라기를 가져 오시고 또 하늘의 양식으로 그들을 만족하게 하셨도다
자유로운 새
새가 가진 날개는 새의 전부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날개는 공간을 자유롭게 활보한다. 담에 걸리지 않고, 강이나 바다, 산에도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날아다닐 수 있다.
- 시편 55장 6절 나는 말하기를 만일 내게 비둘기 같이 날개가 있다면 날아가서 편히 쉬리로다
- 시편 139장 9절 내가 새벽 날개를 치며 바다 끝에 가서 거주할지라도
보호하는 날개
보호처로서의 날개는 성경 곳곳에서 매우 은유적으로 사용된다.
- 룻기 2장12절 여호와께서 네가 행한 일에 보답하시기를 원하며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그의 날개 아래에 보호를 받으러 온 네게 온전한 상 주시기를 원하노라 하는지라
- 시편 36장7절 하나님이여 주의 인자하심이 어찌 그리 보배로우신지요 사람들이 주의 날개 그늘 아래에 피하나이다
죽음과 저주의 상징
- 삼하 21:10 아야의 딸 리스바가 굵은 베를 가져다가 자기를 위하여 바위 위에 펴고 곡식 베기 시작할 때부터 하늘에서 비가 시체에 쏟아지기까지 그 시체에 낮에는 공중의 새가 앉지 못하게 하고 밤에는 들짐승이 범하지 못하게 한지라
- 신명기 28장 26절 네 시체가 공중의 모든 새와 땅의 짐승들의 밥이 될 것이나 그것들을 쫓아줄 자가 없을 것이며
- 욥기 39장 30절 그 새끼들도 피를 빠나니 시체가 있는 곳에는 독수리가 있느니라
- 예레미야 16장 4절 그들은 독한 병으로 죽어도 아무도 슬퍼하지 않을 것이며 묻어 주지 않아 지면의 분토와 같을 것이며 칼과 기근에 망하고 그 시체는 공중의 새와 땅의 짐승의 밥이 되리라
- 마태복음 24장28절 주검이 있는 곳에는 독수리들이 모일 것이니라
강력한 힘을 가진 원수 또는 적
- [렘]49:22 보라 원수가 독수리 같이 날아와서 그의 날개를 보스라 위에 펴는 그 날에 에돔 용사의 마음이 진통하는 여인 같이 되리라 하시니라
- 신명기 28장49절 곧 여호와께서 멀리 땅 끝에서 한 민족을 독수리가 날아오는 것 같이 너를 치러 오게 하시리니 이는 네가 그 언어를 알지 못하는 민족이요
- 예레미야애가 4장19절 우리를 뒤쫓는 자들이 하늘의 독수리들보다 빠름이여 산 꼭대기까지도 뒤쫓으며 광야에서도 우리를 잡으려고 매복하였도다
허망한 것
- 잠언 23장5절 네가 어찌 허무한 것에 주목하겠느냐 정녕히 재물은 스스로 날개를 내어 하늘을 나는 독수리처럼 날아가리라
Views: 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