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을 보시는 주님 앞에
예루살렘 성전에서의 마지막 가르침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권위에 대한 질문, 부활에 대한 논쟁, 사람들의 마음을 읽으시는 예수님의 시선은 점점 더 깊어지고 날카로워집니다. 누가복음 20장 41절부터 21장 4절까지의 본문은 예수님께서 진정한 메시아의 정체를 드러내시며, 위선과 진실한 헌신 사이의 극명한 차이를 드러내는 장면입니다. 이 말씀은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가장 근본적인 신앙의 질문을 던지고 있습니다. 나는 누구를 주로 고백하는가? 그리고 나는 무엇을 드리며 살아가고 있는가?
다윗이 주로 고백한 그분
예수님께서 사람들에게 질문하십니다. “사람들이 어찌하여 그리스도를 다윗의 자손이라 하느냐?”(눅 20:41). 이 질문은 단순한 혈통에 대한 질문이 아닙니다. 유대인들은 메시야가 다윗의 자손으로 올 것을 기대하고 있었지만, 그 기대는 주로 정치적 구원자, 세상의 억압에서 벗어나게 해 줄 왕으로서의 이미지를 담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시편 110편을 인용하시며 말씀하십니다. “다윗이 시편책에 말하였으되, 주께서 내 주께 이르시되, 내가 네 원수를 네 발등상으로 삼을 때까지 내 우편에 앉아 있으라 하셨도다”(눅 20:42-43).
여기서 “주께서 내 주께”라는 표현은 매우 특별한 구조입니다. 히브리어 원문에서는 ‘יהוה אמר לאדני'(YHWH amar la’adoni)로, 여호와께서 내 주(아도니)에게 말씀하셨다는 의미입니다. 다윗은 자신보다 이후에 태어날 메시아를 ‘내 주’라고 부릅니다. 이것은 단순한 왕권의 계승이 아니라, 영원한 통치자, 곧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고백입니다. 예수님은 이 구절을 통해 당신이 단순한 다윗의 후손이 아니라, 다윗조차 주로 고백한 참된 주님이심을 밝히십니다.
이 고백은 우리의 신앙에 있어 결정적인 질문이 됩니다. 우리는 예수님을 단지 내 삶의 도우미나 조언자가 아닌, 나의 주로 고백하고 있는가? 그분이 내 생각을 넘어서 통치하시는 분이심을 진심으로 인정하고 있는가? 예수님의 질문은 단순한 신학 논쟁이 아닙니다. 그것은 나의 마음 깊은 곳에서부터 ‘예수님은 누구이신가?’라는 본질을 묻는 것입니다.
사람의 영광을 구하는 신앙
예수님께서는 이어서 사람들에게 서기관들을 삼가라 경고하십니다. 그들은 길게 옷을 입고 다니는 것을 좋아하며, 시장에서 문안 받는 것과 회당의 높은 자리, 잔치의 윗자리를 좋아한다고 하셨습니다(눅 20:46). 이것은 단순히 외적인 습관에 대한 비판이 아닙니다. 그들의 마음 중심이 사람의 인정을 향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들의 신앙은 껍데기뿐인 신앙이었습니다.
여기서 예수님이 보신 것은 그들의 헌신이 아니라 그들의 동기였습니다. 긴 옷(στολάς, stolās)은 외적인 권위와 신분을 과시하는 옷이었으며, 윗자리에 앉는 것은 그들이 추구하는 세속적 권세와 영광을 의미했습니다. 그들은 겉으로는 하나님을 말하지만, 실제로는 사람에게 인정받고 싶어하는 욕망에 사로잡혀 있었습니다.
예수님은 이어서 말씀하십니다. “저희는 과부의 가산을 삼키며 외식으로 길게 기도하니 그 받는 판결이 더욱 중하리라”(눅 20:47). 예수님께서 지적하신 것은 그들이 하나님의 이름으로 약자들을 착취하며, 기도로 신앙인의 외양을 유지하고 있었던 위선입니다. 이는 단지 종교인에 대한 경고가 아니라, 오늘날 우리 모두에게 주시는 말씀입니다. 우리 역시 하나님의 이름을 부르지만, 그 마음은 사람의 시선과 인정에 사로잡혀 있지는 않은가 돌아봐야 합니다.
예수님은 단호하게 말씀하십니다. 그 받는 판결이 더욱 중할 것이라고. 이것은 경고이자 사랑의 외침입니다. 하나님은 사람의 겉모양을 보시지 않고, 중심을 보십니다. 우리의 예배와 기도, 헌신은 하나님께 드리는 진심이어야 합니다. 그 중심이 하나님을 향할 때, 비로소 우리의 신앙은 생명을 품게 됩니다.
과부의 두 렙돈, 진정한 헌신의 얼굴
예수님께서 성전의 헌금함을 바라보십니다. 부자들은 많은 것을 넣고 있었고, 그 중 한 가난한 과부가 두 렙돈을 넣습니다. 렙돈은 당시 가장 작은 동전으로, 두 렙돈은 고된 하루 노동의 값에도 미치지 못하는 금액이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이 여인을 보시고 말씀하십니다. “내가 참으로 너희에게 말하노니 이 가난한 과부가 다른 모든 사람보다 많이 넣었도다”(눅 21:3).
여기서 헌금의 액수가 아니라, 헌신의 깊이가 문제였습니다. 예수님은 말씀하십니다. “저희는 그 풍족함 중에서 넣었거니와 이 과부는 그 가난 중에서 자기가 가진 생활비 전부를 넣었느니라”(눅 21:4). ‘생활비'(βίος, bios)라는 단어는 단순한 돈이 아니라, 삶 그 자체를 의미합니다. 이 과부는 돈을 넣은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삶을 드린 것입니다.
하나님께 드리는 예배는 계산이 아닙니다. 그것은 믿음의 표현이며, 하나님을 전적으로 의지하는 고백입니다. 부자들은 남는 것을 드렸지만, 과부는 자신에게 있는 모든 것을 드렸습니다. 그것은 단지 금전적 희생이 아니라, 하나님의 손에 자신의 삶을 맡기는 믿음의 고백이었습니다.
이 장면은 오늘날 우리가 드리는 예배와 헌신을 돌아보게 합니다. 우리는 얼마나 계산하며 살아가고 있는가? 나는 무엇을 남기고, 무엇을 드리고 있는가? 내 마음의 가장 깊은 곳에서 주님을 향해 드릴 수 있는 그 두 렙돈은 무엇인가?
결론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오늘 본문은 예수님께서 성전에서 마지막으로 가르치신 장면입니다. 그 말씀의 핵심은 분명합니다. 당신은 누구를 주로 고백하며, 당신은 무엇을 드리며 살아가고 있습니까?
다윗도 주로 고백했던 그 예수님, 그분 앞에 우리의 삶을 올려드립시다. 외식하는 서기관들처럼 사람의 눈을 신경 쓰며 살지 말고, 가난한 과부처럼 삶 그 자체를 드립시다. 하나님은 우리의 중심을 보십니다. 그분은 많은 것을 원하시는 분이 아니라, 전부를 드릴 수 있는 믿음을 원하십니다.
그 두 렙돈보다 더 적은 것이라도, 하나님을 향한 진실한 믿음으로 드린다면, 주님은 그것을 가장 귀하게 받으십니다. 오늘도 그 눈으로 우리를 바라보시는 주님 앞에서, 여러분의 중심이 주를 향하게 되기를 간절히 축원합니다. 아멘.
Views: 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