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복음 18:1-14 기도하며 낙심하지 말라.

하나님 앞에 엎드린 자의 기도

기도는 믿는 자의 호흡입니다. 하지만 우리의 기도는 언제나 간절한 마음에서 비롯되는 것은 아닙니다. 때로는 형식으로 남기도 하고, 응답이 지연될수록 지쳐가는 것이 우리 인간의 연약함입니다. 누가복음 18장 1절부터 14절까지는 기도에 대해 예수님께서 주신 두 가지 비유를 통해, 참된 기도의 본질과 하나님 앞에서 우리가 어떤 마음으로 기도해야 하는지를 분명하게 보여줍니다.

항상 기도하고 낙심하지 말라

누가복음 18장 1절은 이 비유들의 목적을 단도직입적으로 밝힙니다. “예수께서 그들에게 항상 기도하고 낙심하지 말아야 할 것을 비유로 말씀하여”. 예수님은 기도는 선택이 아니라 ‘항상’ 해야 할 것이며, 그 기도는 어떤 상황 속에서도 ‘낙심하지 않는’ 태도를 요구한다고 가르치십니다.

첫 번째 비유는 불의한 재판장과 과부의 이야기입니다. 이 비유 속 재판장은 하나님을 두려워하지 않고 사람을 무시하는 자입니다. 그러나 그에게 억울함을 호소하는 한 과부는 끈질기게 찾아와 자신의 원한을 풀어 달라고 요청합니다. 결국 재판장은 귀찮다는 이유로 그녀의 요청을 들어줍니다. 이 장면에서 과부는 히브리 사회에서 가장 연약한 자, 보호받을 힘이 없는 자를 대표합니다.

본문에 등장하는 “과부”는 히브리어로 ‘אַלְמָנָה’ (알마나)로, 단순히 남편을 잃은 여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경제적으로 가장 취약한 존재를 상징합니다. 이런 과부가 힘있는 재판장 앞에 계속 나아간다는 것은 인간적으로는 불가능한 도전입니다. 하지만 이 비유의 핵심은 과부의 끈질김이 아니라, 그런 자의 소리에 귀 기울이시는 하나님의 공의에 있습니다.

예수님은 이 비유를 통해 하물며 불의한 재판장도 듣는다면, 의로우신 하나님께서 밤낮 부르짖는 택하신 자들의 기도를 어찌 듣지 않으시겠느냐고 말씀하십니다. 기도는 단순히 요청을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성품을 신뢰함으로 나아가는 행위입니다. 우리는 때때로 우리의 기도가 응답되지 않았다고 여깁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지체하심 같으나 결코 늦지 않으시며, 그 타이밍은 언제나 가장 선하신 때입니다.

예수님께서 덧붙이신 말씀은 기도의 주제에서 믿음의 문제로 나아갑니다. “인자가 올 때에 세상에서 믿음을 보겠느냐”는 질문은 기도의 자리에 끝까지 머물 수 있는 참된 믿음이 얼마나 드문지를 지적하십니다. 기도는 믿음 없이는 지속될 수 없습니다. 기도는 단순한 바람이나 소망이 아닌, 하나님을 신뢰하는 믿음의 행위입니다. 믿는 자는 결코 기도를 멈추지 않습니다.

하나님 앞에서의 태도: 자기를 높이는 자와 자기를 낮추는 자

예수님께서 이어서 들려주신 두 번째 비유는 바리새인과 세리의 기도입니다. 이 두 사람은 성전에서 기도하기 위해 올라갔습니다. 그러나 그들의 기도의 내용과 자세는 극명하게 대비됩니다.

먼저 바리새인은 서서 따로 기도합니다. 그는 자신이 얼마나 의로운지를 열거합니다. “나는 다른 사람들, 곧 토색, 불의, 간음을 하는 자들과 같지 아니하고 이 세리와도 같지 아니함을 감사하나이다”. 그는 금식과 십일조를 드렸다는 신앙적 행위들을 자랑합니다. 그러나 그의 기도에는 하나님 앞에서 자신을 바라보는 회개의 태도도, 타인을 위한 중보도 없습니다. 오직 자신만이 주제입니다.

반면 세리는 멀리 서서 감히 눈을 들어 하늘을 쳐다보지도 못하고 다만 가슴을 치며 고백합니다. “하나님이여 불쌍히 여기소서 나는 죄인으로소이다”. 여기서 ‘불쌍히 여기소서’는 헬라어로 ‘ἱλάσθητί’ (힐라스세티)로, 단순한 동정이 아니라 속죄의 자비를 구하는 간절한 표현입니다. 세리는 자신이 하나님의 긍휼 없이는 설 수 없는 죄인임을 고백하고 있는 것입니다.

예수님은 이 두 사람 중 누가 의롭다 하심을 받고 내려갔는지를 분명히 하십니다. 자기를 낮춘 자, 곧 세리가 하나님 앞에서 의롭다 하심을 받았다고 선언하십니다. 여기서 ‘의롭다 하심’은 헬라어 ‘δεδικαίωμαι’ (데디카이오마이)로, 법정적인 선언입니다. 하나님께서 죄인을 의롭다고 인정해주시는, 전적인 은혜에 의한 선언입니다.

이 비유는 단순히 겸손하라는 도덕적 교훈을 넘어서, 하나님 앞에서 참된 자의 태도가 무엇인지를 드러냅니다. 우리는 하나님 앞에서 스스로 자랑할 것이 아무것도 없는 죄인입니다. 우리의 행위나 외형적인 경건이 아닌, 오직 하나님의 긍휼에 의지할 때에만 의롭다 하심을 얻을 수 있습니다.

기도는 하나님 앞에서 벌어지는 내면의 진실

이 두 비유는 모두 기도의 외적 형식보다 내적 태도에 대해 강조하고 있습니다. 기도는 사람에게 보이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하나님의 심판대 앞에 선 자의 마음 깊은 고백입니다. 우리가 진정으로 기도할 수 있는 것은, 하나님의 자비가 우리에게 여전히 열려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세리의 기도는 성전에 나아온 자라면 반드시 품어야 할 태도를 보여줍니다. 그는 자신의 상태를 정확히 알고 있었기에, 하나님께만 기대었습니다. 이 고백은 그리스도의 십자가 앞에 나아오는 죄인의 고백과도 같습니다. 우리가 구원받는 것은, 우리가 옳기 때문이 아니라 오직 예수 그리스도의 의로 인해 의롭다 함을 얻기 때문입니다.

한편 바리새인의 기도는 오늘 우리 신앙생활에 대한 깊은 성찰을 요구합니다. 우리가 드리는 예배, 기도, 섬김이 혹시 스스로의 의로움이나 자랑이 되어 하나님 앞에 겸손을 잃은 것은 아닌지 돌아보게 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외모가 아니라 중심을 보십니다. 하나님 앞에서의 진실된 마음은 곧 상한 심령이며, 낮은 자의 고백입니다.

기도는 우리가 어떤 사람인가를 드러내는 거울입니다. 그리고 기도 속에서 우리는 하나님의 성품, 곧 자비로우시고 오래 참으시며 의로우신 하나님을 깊이 만나게 됩니다. 기도는 하나님 앞에서 자신을 바라보는 시간이며, 그 앞에서 진실해질 때에야 비로소 그분과의 관계가 깊어집니다.

결론: 낙심하지 말고 낮아져 기도하라

누가복음 18장 1절부터 14절까지의 말씀은 우리에게 두 가지 중요한 기도의 본질을 가르칩니다. 첫째는 끈질긴 기도입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낙심하지 않고 끝까지 기도하기를 원하십니다. 그 기도는 단지 응답을 얻기 위한 행위가 아니라, 하나님을 끝까지 신뢰하는 믿음의 표현입니다. 둘째는 낮은 마음으로 드리는 기도입니다. 하나님은 겉모양이 아닌 중심을 보시며, 자신을 높이는 자를 물리치시고, 자신을 낮추는 자를 높이십니다.

기도는 우리를 하나님의 은혜 앞으로 인도합니다. 그리고 그 자리에서 우리는 우리의 의로움이 아니라, 하나님의 긍휼로 인해 살아감을 다시금 고백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낙심하지 말고, 낮아져 기도하십시오. 하나님은 지금도 밤낮 부르짖는 자의 음성에 귀 기울이십니다. 그리고 그 마음을 위로하시고, 다시 세우십니다. 우리의 기도가 응답되는 그 날까지, 믿음으로 기도의 자리를 지켜가시길 바랍니다.

Views: 48